* 사진을 클릭하시면 연사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ㅇ
안동규
한림대학교 금융재무학과 교수
강원도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
분과세션 3
안동규
한림대학교 금융재무학과 교수
강원도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
안동규교수는 한림대학교에서 1990년부터 재무분야, 기업윤리 등을 가르치며 경영대학장과 대학원장 및 부총장 (2017-2021)등의 보직활동을 하였다. 지역관련 활동으로는 지역경실련, 기윤실, 한국분권아카데미를 설립하며 원장 역할을 하였으며 최근에는 지방분권전국회의의 공동대표 역할과 강원도 자치분권위원장의 활동을 하고 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재정위원장을 담당하였고 관련해서 대통령표창을 받았으며, 지역의 시민활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분권형 개헌, 강원도평화특별자치도, 등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듀크대학교,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학사 석사(MBA) 박사(Ph.D 경영학)를 취득하였고 관련학회와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기독교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교회 및 선교단체에 봉사하고 있으며 슬하에 2녀를 두고 있다.
윤영근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재난안전연구실
부연구위원
분과세션 3
윤영근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재난안전연구실
부연구위원
2011년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1~2013년까지 서울대학교 BK21 사업단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서울대, 한양대 등에서 강의하였다. 2013년~2018년까지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서 근무하였고, 2018년 2월부터 현재까지 한국행정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관심 분야는 지방자치, 국가-사회 관계, 조직구조 등이다.
이영성
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과
교수
분과세션 2
이영성
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과
교수
이영성 교수는 1993년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를 취득했으며, 2001년에 미국 코넬대학교의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에서 박사(Ph.D.)를 취득했다. 2002년에는 서울연구원에서 ‘청계천복원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연구책임을 했으며, 2003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중앙대학교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2006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교수로 봉직하고 있다. 현재 ‘도시 및 지역경제학’, ‘기반시설계획’, ‘스마트도시의 계획과 관리’, ‘통일과 도시계획’이라는 과목을 담당하고 있다. 지금까지 100여편 이상의 논문을 여러 학술지에 발표했다. 그가 발표한 연구논문은 토지, 주택, 도시재정, 사회간접자본, 지역경제, 비용편익분석, 스마트시티, 삶의 질에 걸쳐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면서 진행하고 있지만, 핵심은 ‘도시와 지역의 장기적인 번영’에 놓여 있다. 즉 어떤 도시와 지역이 4차 산업혁명과 같은 거대한 도전과 변화속에서 장기적인 번영을 구가할 수 있는가에 관해 질문을 던지고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그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미래에 남북의 공동 번영을 위한 방안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거나 당연시하는 오류를 짚고, 시대흐름에 맞는 방향으로 남북관계를 바라보는 생각의 틀을 재편하고, 정책을 구체화하는데 많은 시간을 들이고 있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
개막식
이인영
통일부
장관
이인영은 대한민국의 21대 국회 정치인이며, 현재 통일부 장관을 맡고있다.
1987년 고려대학교 20대 총학생회장으로서 개헌운동을 주도하였고,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1기 의장(1987년 10월),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간사(1988년), 《전대협동우회》 초대 회장(1993년)을 거쳐 1999년 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2004년을 시작으로 제17·19·20·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2010년과 2012년 민주통합당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018년 국회 남북경제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2019년에는 제20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및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20년 7월 3일 문재인 정부의 통일부 장관으로 지명되었고, 24일 후인 7월 27일 임명이 재가되어 장관 업무를 시작하였다.
이찬우
일본 테이쿄대학교 현대비지니스학과
준교수
분과세션 1
이찬우
일본 테이쿄대학교 현대비지니스학과
준교수
이찬우는 1980년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 입학하여 1986년에 동대학 국사학과를 졸업, 대우경제연구소 동북아시아팀 연구위원, 제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을 역임함. 1999년 6월에 일본 니가타시에 있는 ERINA(동북아시아경제연구소)객원연구원으로 옮겨 동북아시아지역 경제협력에 관한 조사연구를 하였음. 2012년 4월부터 현재까지 도쿄의 테이쿄대학 현대비지니스학과 준교수를 하고 있으며 일본경제연구센터 특임연구원을 겸임하고 있음. 주요한 연구분야는 한반도를 중심으로한 동북아시아지역의 정치/경제 조사 및 동북아지역협력체계 모델연구임. 주요 논문 및 저서로 남북한의 동북아 정책[변화하는 동북아 경제지도](2017)과 [북한경제와 협동하자] (2019) 등이 있음.
이희옥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분과세션 2
이희옥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희옥 교수는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성균중국연구소장으로 있다. 현대중국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한국정치학회 부회장으로 있다. 정부활동으로는 남북관계 발전위원회 민간위원, 청와대 남북정상회담 자문위원, 외교부·통일부·서울시 등의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통 상임위원으로 있다. 사회활동으로는 세종연구소, 동북아역사재단, 한중우호협회 부회장으로 있다. 해외에서는 중국의 지린(吉林)대학, 화교대학 등의 객좌교수이며, 퉁지(同濟)대학, 텐진외국어대(天津外大), 수도사범대학 등의 겸직교수이다. 한국외국어대학을 졸업하고 홍콩대학과 베이징대학 등에서 수학하고 연구했으며, 일본나고야대학 특임교수, 워싱턴대 방문교수, 중국해양대학 강의교수를 거쳤다. 단독저서로는 <중국의 새로운 사회주의탐색>, <중국의 새로운 민주주의 탐색>, <중국의 국가대전략 연구> 등이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