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을 클릭하시면 연사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ㄱ
강민조
국토연구원 한반도·동아시아연구센터
연구위원
분과세션 3
강민조
국토연구원 한반도·동아시아연구센터
연구위원
강민조는 국토연구원에서 2014년부터 북한 및 접경지역에 관한 연구와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국토이용 활용방안 및 정책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그녀는 2018년부터 한반도 평화번영연구단 실무연구단 및 기획팀의 멤버이다. 이 외에도 2014넌 미국의 월드뱅크에서 원격탐사 컨설턴트로 근무했다.
강민조는 2014년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 2009년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지리학 석사 학위를, 2003년 건국대학교에서 지역과학 석사를, 2001년 건국대학교에서 지리학 학사 학위를 수요 받았다.
강인태
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법제지원팀장
분과세션 3
강인태
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법제지원팀장
강인태 박사는 2010년 1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법제지원팀장으로 근무하면서 제주특별자치도 발전을 위한 입법 및 정책 분야에서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강인태 박사는 근무기간 중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개정 등 제주특별자치도가 국제자유도시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제도개선 분야에서 법률 및 정책적 자문을 담당하였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는 2006년도부터 현재까지 중앙의 권한 4,660건을 이양 또는 특례를 받았다. 강인태 박사는 이러한 권한이양과 특례를 근거로 제정 또는 개정된 조례에 대한 입법평가 분야에서도 전문가이다. 강인태 박사는 우리나라 최초로 지방자치단체 자치법규 입법평가를 추진한 지방자치단체 자치법규 입법평가 분야의 선구자이다. 현재 경기도 전문가 자문단 위원, 충청남도 입법평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강인태 박사는 2012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는 국민권익위원회 전문위원으로 근무하면서 고충민원, 불합리한 제도개선, 공공갈등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그는 2002년부터 2008년까지 법무법인 한미 및 LSK Law Office에서 근무하였고, 2001년 법학석사학위를, 2010년에 법학박사학위를 서강대학교에서 수여받았다.
고유환
통일연구원
원장
분과세션 1
고유환
통일연구원
원장
1991년 동국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통일‧북한 문제 및 남북관계 분야의 전문가로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1994~2020),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소장(2009~2020), 스탠퍼드대 아시아태평양연구소 방문학자(2010~2011), 북한연구학회 회장(2012),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평화번영분과위원장(2017~2019)/위원(~2020), 남북정상회담 전문가 자문위원(2018),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장(2017~2020),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기획조정분과위원장(2017~2021)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외교부 한반도분과위원장(2018~)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2019), 남북한 군사충돌로 본 분단 70년사(2018), 북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방법론·연구방법(2015), 북한의 사회변동과 혼종성1: ‘주체사회’의 모호한 경계들(2021), Troubled Transition: North Korea’s Politics, Economy, and External Relations(2013) 등이 있다.
토마 고마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원
원장
기조세션
토마 고마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원
원장
토마 고마 박사(파리 제1 팡테옹 소르본 대학교 역사학 박사, HEC 경영대학원 EMBA)는 프랑스국제관계연구소 소장이다. 그는 프랑스국제관계연구소 전략개발 부사장(2010-2015년)과 동 연구소 러시아/NIS 센터장(2004-2013년)을 지내기도 했다.
싱크 탱크 분야에 합류하기 전, 고마 소장은 학자(소르본대학 조교수, 1996-1999년), 육군 사관학교 생도(2000년), 그리고 정책기업가(2001-2004년)로 활동했다. 2004년 프랑스국제관계연구소에 합류하면서 러시아/NIS 센터를 설립했다. 그의 학문적·전문적인 배경은 ‘소련 해체 후의 공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보다 더 광범위한 국제문제(보안, 에너지 및 디지털 거버넌스)와도 관련이 있다.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MGIMO) 라브와지에 펠로우, 파리에 본부를 둔 유럽연합 안전보장연구소 객원 연구원, 그리고 킹스칼리지런던 전쟁학 마리 퀴리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국제 경험을 쌓기도 했다.
현재 그는 연구원으로서 러시아, 디지털 거버넌스, 국가위험도 및 싱크 탱크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우리의 국익: 프랑스의 외교 정책은 무엇인가?』(Notre intérêt national. Quelle politique étrangère pour la France? 공저, 2017), 『세계의 공포 - 10가지 지정학적 문제』(L’affolement du monde - 10 enjeux géopolitiques, 2019), “싱크탱크는 무엇인가? 프랑스의 관점에서 본 싱크탱크”(What is A Think Tank? A French Perspective, 2019), “COVID-19와 순수 과학기술의 종말”(Le COVID-19 et la fin de l'innocence technologique, 2020) 그리고 『보이지 않는 전쟁. 우리가 직면한 지정학적 도전』(Guerres Invisibles. Nos prochains défis géopolitiques, 2021)을 저술했다.
고마 소장은 “2017년 국방 및 국가안보의 전략적 리뷰”(프랑스 국방부) 전략검토위원회 위원이며, 또한 여러 프랑스 저널(Politique étrangère, Etudes, Revue des deux mondes)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금창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자치분권제도실
선임연구원
분과세션 3
금창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자치분권제도실
선임연구원
금창호 박사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선임연구위원으로, 1992년부터 현재까지 재직중이다.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책학을 전공하였으며,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조직관리 및 광역행정이며, 현재 자치분권제도실에서 자치분권, 지방의회, 특례제도 등의 연구를 주로 수행하고 있다.
30년 이상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과 관련한 많은 연구를 수행해오면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조직진단, 행정구역 조정, 갈등관리, 지방사무, 특례제도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 정부부처, 교육기관 등에서도 많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우선 각 정부별 대통령소속 자문위원회에서 자문위원을 맡았다. 이명박정부에서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실무위원(2008~2010)으로 특별지방행정기관 정비대안을 검토하였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사회통합위원회에서 지역간 사회갈등관리 방안을 검토하였다. 박근혜정부에서는 지방자치발전위원회에서 기능이양을 심의하였고, 문재인정부에서는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서 저출산 대책을 검토하였다.
이 외에 2010년에는 지방행정연수원에서 겸임교수, 2011년에는 다산교육원 위촉교수로써 이론과 실무를 가르쳤으며, 2017년에는 한국지방자치학회의 부회장으로 임명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지방자치의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관련 논의를 종합한 지방자치의 쟁점(2014)과 지방자치의 주요현안과 개편방안을 논의한 한국지방자치의 발전과제와 미래(2016)가 있다.
2021년 현재는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지역분과 위원, 국가보훈처 행정혁신 자문위원, 메가시티 범정부지원단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개막식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김흥종 원장은 2020년 6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으로 선임되기 전, 19년간 연구원에 재직하며 부원장, 연구조정실장,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 등 주요 보직을 지냈다. 현재 한국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KOPEC) 위원장을 겸임하고 있으며, 한국EU학회 회장, 한국APEC학회 회장과 한러대화 조정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내외 대표적인 유럽경제 전문가로서 경제, 통상, 외교 분야에서 정부 정책 수립 과정에 기여해 왔으며, 외교통상부 한-EU FTA 협상 전문가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G20 관련 기획재정부, APEC 및 중장기 외교전략 관련 외교부, ASEM 및 브렉시트 관련 산업통상자원부를 자문해 왔으며,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스와이어 스칼라(Swire Scholar), 미국 UC 버클리 대학교 풀브라이트 방문학자(Fulbright Fellow),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소(Ifri), 벨기에 브뤼셀 자유대학(VUB), 터키 마르마라(Marmara) 대학교에서 방문학자를 역임했다.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직을 수행했다.
유럽경제 및 한-EU관계, FTA 등 통상정책, 지역 통합 및 양극화 관련하여 70 편 이상의 논문과 저서를 집필했고, 국내외 언론·방송 프로그램에 다수 출연 및 기고해 왔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옥스퍼드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수학했다.
김동길
중국 베이징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한반도연구센터 소장
분과세션 1
김동길
중국 베이징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한반도연구센터 소장
김동길 교수는 2005년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 연구소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08년 9월 북경대 역사학과 부교수를 거쳐 2018년 1월 북경대 역사학과 교수로 임명되었다. 대표적인 저서로 민국시기중소관계사(1931-1945)(民国时期中苏关系史: 中共党史出版社,2009)가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 범위는 중화인민공화국외교사, 중소관계사 및 중조관계사이다. 김동길 교수는 영문 잡지 Diplomatic History, Cold War History, The Chinese Historical Review, The International History Review,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와 한국의 역사학보, 한국과 국제정치, 동양사학연구, 중국의 历史研究, 中国当代史研究, 党的文献,中共党史研究등에 30여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김동길 교수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북경대학교 한반도연구센터 소장직을 맡고 있으며, 현재 중조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상기
통일연구원 평화연구실
연구위원
분과세션 2
김상기
통일연구원 평화연구실
연구위원
현재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2012년 미국 아이오와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로 일한 바 있다. 2019년 5월부터 2020년 6월까지는 통일부장관 정책보좌관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남북관계, 북미관계, 한반도 평화체제, 미국외교정책 등이다. 저서로는 한반도 평화협정문 구상과 제안(공저, 2019),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관계(공저, 2018) 등 다수가 있다.
김주원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교수
분과세션 3
김주원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교수
김주원은 강원연구원에서 1996년부터 24년간 연구원으로 일했다. 연구원으로 강원도의 지방자치제도, 농촌농업에 대한 경쟁력강화, 행정혁신 등을 위한 연구를 추진해왔다. 그중에서도 강원도 평화특별자치도를 제안하여 현재 남북강원도로 나뉘어 있는 강원도에 평화통일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행정혁신공로로 국민포장, 대통령표창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그리고 지금은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과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농촌농업발전과 강원평화특별자치도의 실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
개막식
김부겸
국무총리
김부겸 국무총리는 2021년 5월부터 대한민국 제 47대 국무총리로 부임하였으며, 제 16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17-18대 및 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또한 국회 정무위원회, 미래전략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등에서 위원직을 수행하였으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행정안정부 장관직을 역임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하였으며,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를 졸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