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청 연사 소개

성(Last name) 가나다순

* 사진을 클릭하시면 연사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강민조

    국토연구원 한반도·동아시아연구센터
    연구위원

    분과세션 3

    강민조

    국토연구원 한반도·동아시아연구센터
    연구위원

    강민조는 국토연구원에서 2014년부터 북한 및 접경지역에 관한 연구와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국토이용 활용방안 및 정책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그녀는 2018년부터 한반도 평화번영연구단 실무연구단 및 기획팀의 멤버이다. 이 외에도 2014넌 미국의 월드뱅크에서 원격탐사 컨설턴트로 근무했다.
    강민조는 2014년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 2009년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지리학 석사 학위를, 2003년 건국대학교에서 지역과학 석사를, 2001년 건국대학교에서 지리학 학사 학위를 수요 받았다.

    Close
  • 강인태

    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법제지원팀장

    분과세션 3

    강인태

    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법제지원팀장

    강인태 박사는 2010년 1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법제지원팀장으로 근무하면서 제주특별자치도 발전을 위한 입법 및 정책 분야에서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강인태 박사는 근무기간 중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개정 등 제주특별자치도가 국제자유도시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제도개선 분야에서 법률 및 정책적 자문을 담당하였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는 2006년도부터 현재까지 중앙의 권한 4,660건을 이양 또는 특례를 받았다. 강인태 박사는 이러한 권한이양과 특례를 근거로 제정 또는 개정된 조례에 대한 입법평가 분야에서도 전문가이다. 강인태 박사는 우리나라 최초로 지방자치단체 자치법규 입법평가를 추진한 지방자치단체 자치법규 입법평가 분야의 선구자이다. 현재 경기도 전문가 자문단 위원, 충청남도 입법평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강인태 박사는 2012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는 국민권익위원회 전문위원으로 근무하면서 고충민원, 불합리한 제도개선, 공공갈등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그는 2002년부터 2008년까지 법무법인 한미 및 LSK Law Office에서 근무하였고, 2001년 법학석사학위를, 2010년에 법학박사학위를 서강대학교에서 수여받았다.

    Close
  • 고유환

    통일연구원
    원장

    분과세션 1

    고유환

    통일연구원
    원장

    1991년 동국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통일‧북한 문제 및 남북관계 분야의 전문가로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1994~2020),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소장(2009~2020), 스탠퍼드대 아시아태평양연구소 방문학자(2010~2011), 북한연구학회 회장(2012),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평화번영분과위원장(2017~2019)/위원(~2020), 남북정상회담 전문가 자문위원(2018),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장(2017~2020),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기획조정분과위원장(2017~2021)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외교부 한반도분과위원장(2018~)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2019), 남북한 군사충돌로 본 분단 70년사(2018), 북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방법론·연구방법(2015), 북한의 사회변동과 혼종성1: ‘주체사회’의 모호한 경계들(2021), Troubled Transition: North Korea’s Politics, Economy, and External Relations(2013) 등이 있다.

    Close
  • 토마 고마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원
    원장

    기조세션

    토마 고마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원
    원장

    토마 고마 박사(파리 제1 팡테옹 소르본 대학교 역사학 박사, HEC 경영대학원 EMBA)는 프랑스국제관계연구소 소장이다. 그는 프랑스국제관계연구소 전략개발 부사장(2010-2015년)과 동 연구소 러시아/NIS 센터장(2004-2013년)을 지내기도 했다.

    싱크 탱크 분야에 합류하기 전, 고마 소장은 학자(소르본대학 조교수, 1996-1999년), 육군 사관학교 생도(2000년), 그리고 정책기업가(2001-2004년)로 활동했다. 2004년 프랑스국제관계연구소에 합류하면서 러시아/NIS 센터를 설립했다. 그의 학문적·전문적인 배경은 ‘소련 해체 후의 공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보다 더 광범위한 국제문제(보안, 에너지 및 디지털 거버넌스)와도 관련이 있다.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MGIMO) 라브와지에 펠로우, 파리에 본부를 둔 유럽연합 안전보장연구소 객원 연구원, 그리고 킹스칼리지런던 전쟁학 마리 퀴리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국제 경험을 쌓기도 했다.

    현재 그는 연구원으로서 러시아, 디지털 거버넌스, 국가위험도 및 싱크 탱크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우리의 국익: 프랑스의 외교 정책은 무엇인가?』(Notre intérêt national. Quelle politique étrangère pour la France? 공저, 2017), 『세계의 공포 - 10가지 지정학적 문제』(L’affolement du monde - 10 enjeux géopolitiques, 2019), “싱크탱크는 무엇인가? 프랑스의 관점에서 본 싱크탱크”(What is A Think Tank? A French Perspective, 2019), “COVID-19와 순수 과학기술의 종말”(Le COVID-19 et la fin de l'innocence technologique, 2020) 그리고 『보이지 않는 전쟁. 우리가 직면한 지정학적 도전』(Guerres Invisibles. Nos prochains défis géopolitiques, 2021)을 저술했다.

    고마 소장은 “2017년 국방 및 국가안보의 전략적 리뷰”(프랑스 국방부) 전략검토위원회 위원이며, 또한 여러 프랑스 저널(Politique étrangère, Etudes, Revue des deux mondes)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Close
  • 금창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자치분권제도실
    선임연구원

    분과세션 3

    금창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자치분권제도실
    선임연구원

    금창호 박사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선임연구위원으로, 1992년부터 현재까지 재직중이다.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책학을 전공하였으며,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조직관리 및 광역행정이며, 현재 자치분권제도실에서 자치분권, 지방의회, 특례제도 등의 연구를 주로 수행하고 있다.
    30년 이상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과 관련한 많은 연구를 수행해오면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조직진단, 행정구역 조정, 갈등관리, 지방사무, 특례제도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 정부부처, 교육기관 등에서도 많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우선 각 정부별 대통령소속 자문위원회에서 자문위원을 맡았다. 이명박정부에서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실무위원(2008~2010)으로 특별지방행정기관 정비대안을 검토하였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사회통합위원회에서 지역간 사회갈등관리 방안을 검토하였다. 박근혜정부에서는 지방자치발전위원회에서 기능이양을 심의하였고, 문재인정부에서는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서 저출산 대책을 검토하였다.
    이 외에 2010년에는 지방행정연수원에서 겸임교수, 2011년에는 다산교육원 위촉교수로써 이론과 실무를 가르쳤으며, 2017년에는 한국지방자치학회의 부회장으로 임명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지방자치의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관련 논의를 종합한 지방자치의 쟁점(2014)과 지방자치의 주요현안과 개편방안을 논의한 한국지방자치의 발전과제와 미래(2016)가 있다.
    2021년 현재는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지역분과 위원, 국가보훈처 행정혁신 자문위원, 메가시티 범정부지원단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Close
  •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개막식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김흥종 원장은 2020년 6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으로 선임되기 전, 19년간 연구원에 재직하며 부원장, 연구조정실장,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 등 주요 보직을 지냈다. 현재 한국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KOPEC) 위원장을 겸임하고 있으며, 한국EU학회 회장, 한국APEC학회 회장과 한러대화 조정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내외 대표적인 유럽경제 전문가로서 경제, 통상, 외교 분야에서 정부 정책 수립 과정에 기여해 왔으며, 외교통상부 한-EU FTA 협상 전문가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G20 관련 기획재정부, APEC 및 중장기 외교전략 관련 외교부, ASEM 및 브렉시트 관련 산업통상자원부를 자문해 왔으며,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스와이어 스칼라(Swire Scholar), 미국 UC 버클리 대학교 풀브라이트 방문학자(Fulbright Fellow),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소(Ifri), 벨기에 브뤼셀 자유대학(VUB), 터키 마르마라(Marmara) 대학교에서 방문학자를 역임했다.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직을 수행했다.


    유럽경제 및 한-EU관계, FTA 등 통상정책, 지역 통합 및 양극화 관련하여 70 편 이상의 논문과 저서를 집필했고, 국내외 언론·방송 프로그램에 다수 출연 및 기고해 왔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옥스퍼드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수학했다.

    Close
  • 김동길

    중국 베이징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한반도연구센터 소장

    분과세션 1

    김동길

    중국 베이징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한반도연구센터 소장

    김동길 교수는 2005년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 연구소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08년 9월 북경대 역사학과 부교수를 거쳐 2018년 1월 북경대 역사학과 교수로 임명되었다. 대표적인 저서로 민국시기중소관계사(1931-1945)(民国时期中苏关系史: 中共党史出版社,2009)가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 범위는 중화인민공화국외교사, 중소관계사 및 중조관계사이다. 김동길 교수는 영문 잡지 Diplomatic History, Cold War History, The Chinese Historical Review, The International History Review,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와 한국의 역사학보, 한국과 국제정치, 동양사학연구, 중국의 历史研究, 中国当代史研究, 党的文献,中共党史研究등에 30여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김동길 교수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북경대학교 한반도연구센터 소장직을 맡고 있으며, 현재 중조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Close
  • 김상기

    통일연구원 평화연구실
    연구위원

    분과세션 2

    김상기

    통일연구원 평화연구실
    연구위원

    현재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2012년 미국 아이오와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로 일한 바 있다. 2019년 5월부터 2020년 6월까지는 통일부장관 정책보좌관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남북관계, 북미관계, 한반도 평화체제, 미국외교정책 등이다. 저서로는 한반도 평화협정문 구상과 제안(공저, 2019),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관계(공저, 2018) 등 다수가 있다.

    Close
  • 김주원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교수

    분과세션 3

    김주원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교수

    김주원은 강원연구원에서 1996년부터 24년간 연구원으로 일했다. 연구원으로 강원도의 지방자치제도, 농촌농업에 대한 경쟁력강화, 행정혁신 등을 위한 연구를 추진해왔다. 그중에서도 강원도 평화특별자치도를 제안하여 현재 남북강원도로 나뉘어 있는 강원도에 평화통일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행정혁신공로로 국민포장, 대통령표창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그리고 지금은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과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농촌농업발전과 강원평화특별자치도의 실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Close
  • 김부겸

    국무총리

    개막식

    김부겸

    국무총리


    김부겸 국무총리는 2021년 5월부터 대한민국 제 47대 국무총리로 부임하였으며, 제 16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17-18대 및 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또한 국회 정무위원회, 미래전략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등에서 위원직을 수행하였으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행정안정부 장관직을 역임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하였으며,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Close

  • 나용우

    통일연구원 인도협력연구실
    부연구위원

    분과세션 3

    나용우

    통일연구원 인도협력연구실
    부연구위원

    나용우 박사는 통일연구원 인도협력연구실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나 박사는 성균관대학교 좋은민주주의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조지타운대학교 평화안보연구소 방문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그의 전공은 국제정치학으로, 최근 남북교류협력 분야에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그의 연구업적으로는 <감염병 공동대응을 위한 남북인도협력: 코로나19를 중심으로>(2020, 공저), <신남방정책신〮북방정책 추진전략과 정책과제>(2020, 책임), <분권형 대북정책 추진전략과 실천과제: 대북교류협력정책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을 중심으로>(2019, 책임), <남북관계의 변화와 동북아안보>(2019, 공저), <한반도 평화의 국제정치학>(2018, 공저) 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코로나19 시대 남북 보건의료협력의 조건과 과제”(2021), “지속가능한 한반도의 평화번영을 위한 남북에너지협력”(2019), “한반도 평화번영을 위한 새로운 로컬 거버넌스의 모색: 남북교류협력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2018, 공저), “김정은 시대의 대외개방정책과 남북경제협력: 경제개발구 전략을 활용한 새로운 협력모델의 모색”(2018, 공저), “북핵고도화와 새로운 대북정책의 모색: 공세적 핵전략으로의 진화와 우리의 대응”(2018, 공저), “초연결융합시대와 사이버안보: 사이버공간의 안보화와 한국의 사이버안보 강화 방안”(2017)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Close

  • 진 H. 리

    미국 우드로윌슨센터
    한국역사·공공정책 선임연구원

    분과세션 1

    진 H. 리

    미국 우드로윌슨센터
    한국역사·공공정책 선임연구원

    북한 평양에 최초이자 유일한 미국 뉴스통신사를 개설한 언론인이자 분석가이다. 현재 BBC 월드서비스의 ‘라자루스 사기 사건’ 팟캐스트 공동 진행자이며, 우드로윌슨 국제학술센터에서 선임 연구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언론인 및 AP통신 지국장으로서 한반도에 대한 취재를 이끌었다. 2011년에는 북한 내 접근권한을 받은 최초의 미국인 기자가 되었고, 2012년 1월에는 평양에 AP통신 종합지국을 개설했다. 여러 번의 방북 취재를 통해 북한 전역을 다니며 농장, 공장, 학교, 사관학교, 가정 등을 방문하였다.


    컬럼비아대학교에서 학사학위 및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AP통신 기자로 활동하기 전 서울에서 코리아헤럴드 기자로 일했다. AP통신에서는 유럽, 아시아 및 북미 등지에서 취재 활동을 하였고, 미 볼티모어,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뉴욕, 런던, 서울, 평양 지국으로 파견되었다.


    AP통신을 떠난 후 워싱턴 DC에 위치한 우드로윌슨 국제학술센터에 펠로우로 합류했고, 그 후 우드로윌슨 국제학술센터 한국역사 및 공공정책 현대자동차-한국국제교류재단 센터 소장으로 일했다. 현재 윌슨센터의 선임 연구원이다.


    CNN 기고가로 활동했으며 다양한 글로벌 미디어에 분석 및 논평을 제공하고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시리즈 "밀착취재: 북한을 가다"와 PBS의 "독재자의 플레이북," 넷플릭스의 "폭군이 되는 법"에 출연했다.

    Close

  • 변상욱

    개성공업지구 관리위원회 도라산 남북 출입사무소
    소장

    분과세션 2

    변상욱

    개성공업지구 관리위원회 도라산 남북 출입사무소
    소장

    변상욱 남북출입사무소장은 남북 경협 및 북한 개발에 오랫동안 참여하였으며, 건축사 및 건축 시공기술사 자격을 가진 건축전문가입니다. 변소장은 한양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예건건축사사무소 및 삼성물산에서 건축기획, 건축설계, 및 건설사업관리 업무를 하였으며, 북한개발을 위하여 설립된 현대아산에 1999년부터 2004년까지 근무하였고, 2004년부터 현재까지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지원재단)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변소장은 지난 23년 동안 금강산 지역 개발 및 개성공업지구 개발 등을 비롯한 크고 작은 북한 개발 프로젝트에 참가하였습니다.
    변소장은 금강산개발사업에 참가하여 온천장, 금강산 호텔, 옥류관 등의 건축기획 및 건설사업관리를 담당하였습니다. 금강산개발사업외에 금강산신계사, 평양정주영체육관, 원산연어부화장, 신의주화장품공장, 남북철도, 도로연결사업 등도 수행하였으며, 다수의 남북경협사업 컨설팅도 하였습니다.
    2004년부터 개성공업지구 관리위원회에 합류하여 개성공업지구 개발계획 수립, 건축인허가 및 공공건축물 건설사업관리를 담당하였습니다. 개성공업지구 수행한 프로젝트는 기술교육센터(2006), 아파트형공장(2009), 종합지원센터(2011), 소방서(2012) 등이 입니다. 북한근로자기숙사 건립계획과 2단계 개성공업지구 개발계획 검토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2016년 개성공업지구 중단 후에는 북한개발 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주간경향에 KEDO, 금강산개발사업, 남북종교 및 의료협력사업 등 남북건설협력사업에 대한 글을 연재하고 있으며, 월간건축사에 북한건축현황에 대한 글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변소장은 1992년 송파구민회관 현상설계에 당선되었으며, 2007년애는 개성공업지구 개발 업무의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포장을 수상하기도 하였습니다. 

    Close
  • 안드레이 비스트리츠스키

    러시아 발다이클럽
    이사장

    기조세션

    안드레이 비스트리츠스키

    러시아 발다이클럽
    이사장

    現 발다이클럽 이사장 겸 러시아 고등경제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디자인 대학 학장 및 교수이자 러시아작가협회 회원이다.

    1985년부터 1991년까지 교육과학아카데미 선임 연구원으로 재직했고, 이후 1991년부터 미디어 산업에 종사하여, 전러시아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회사(RTR) 시청자 연구 부서장 및 다수의 라디오·TV 방송작가 및 진행자로 활동했다.

    1993년부터 1996년까지 RTR에서 사회학 연구를 주도했고, 이토기(Itogi, 뉴스위크 러시아어판) 잡지의 사회부를 지휘하기도 했다(1996-1997년). 테베 첸트르(TV Tsentr)에서 정보부 부국장 역임하고(1997-1998년), 이후 BBC에서 러시아 뉴스 서비스 프로듀서(1998-1999년)로 활동했다. 1999년에는 비공식 모스크바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공동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모스크바 대안신문 편집위원회 위원 및 마야크 스테이트 라디오 방송국(러시아의 주요 정보 라디오) 위원장을 역임했다.

    2000년에 러시아 국영TV방송사 베스티(Vesti)의 사장을 역임했다. 동시에 RTR 부사장 및 러시아 TV 정보프로그램부 부장을 지냈고(2000-2008년), 국제방송사 유로뉴스(Euronews) 이사회 회원(2000-2013년) 및 부사장을 맡았다. 월간 잡지 아폴로지아(Apologia) 편집장을 역임했고(2005-2007년) 국영라디오방송국 러시아의 소리(44 개 언어로 방영되는 러시아 국제 방송사) 회장직(2008-2014년)을 지냈다.

    2001년부터 러시아 고등경제대학교에 재직하여 2014년부터 커뮤니케이션·미디어·디자인대 학장으로 직위를 수행했다. 2008년부터 독립국가연합(CIS) 각료위원회 위원장 및 공공 텔레비전·라디오방송단체 회장으로 활동했다. 2014년부터 발다이클럽 개발지원기금 이사장과 러시아 통신부 공공 감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89년에 교육학박사를 취득하였고, 러시아작가협회 회원으로 2007년 6월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 『구소련 해체 당시 청년하위문화와 러시아 지식인』(1991년) 등의 서적을 출판했고 다수의 신문과 잡지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Close

  • 송영훈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분과세션 3

    송영훈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송영훈 교수는 현재 강원대학교 기획처장이며 정치외교학과에서 국제정치 관련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는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장으로서 남북강원도 교류협력과 평화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제언과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였다. 그는 강원대학교에 부임하기 전에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2014-2015)과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연구교수(2011-2014)를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학부와 석사를 졸업하고,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전공으로 정치학박사 학위를 2011년에 취득하였다. 그는 주로 국제정치이론, 분쟁과 강제이주, 국제인과 인도주의, 남북관계 등의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Close
  • 캐슬린 스티븐스

    미국 한미경제연구소 소장
    코리아 소사이어티 이사장

    기조세션

    캐슬린 스티븐스

    미국 한미경제연구소 소장
    코리아 소사이어티 이사장

    캐슬린 스티븐스는 2018년 9월부터 한미경제연구소의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정통 외교관 출신(1978-2015년)으로 최초의 여성 주한미국대사를 지냈으며(2008-2011년),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최초의 미국 대사이기도 했다. 외교관으로 한국 외에 중국, 구(舊) 유고슬라비아, 포르투갈 등지에서 근무했고, 특히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총영사로서 북아일랜드 평화협상에 참여해 1998년 ‘성(聖)금요일 협정’ 체결에 주요한 역할을 했으며, 공석중인 인도 주재 대사 대행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또한 미 국무부 공공외교 및 공보 담당 차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수석 부차관보를 거쳐 선임고문, 유럽·유라시아 담당 부차관보, 그리고 빌 클린턴 대통령 임기 중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유럽 담당 국장을 역임했다.

    스티븐스 소장은 1970년대 한국에서 평화봉사단 단원(1975-1977년)으로 활동하면서 한국과의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 1983-1987년 한국으로 돌아와 주한미국대사관 정무팀장을 거쳐 부산의 미국영사관에서 선임영사로 근무했다.

    스티븐스 소장은 스탠포드대학교 쇼렌스타인 아시아태평양 연구센터에서 윌리엄 J. 페리 석좌위원을 역임했다. 또한 한국외국어대학교 LD학부 석좌교수와 조지타운대학 외교연구소 미국무부 선임 펠로우를 지내기도 했다. 현재 맨스필드재단 특별 펠로우, 태평양세기연구소 이사회 의장, 아시아재단 이사, 코리아소사이어티 이사로 활동 중이며, 미국외교아카데미와 미국외교협의회 회원이다. 

    Close

  • 안동규

    한림대학교 금융재무학과 교수
    강원도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

    분과세션 3

    안동규

    한림대학교 금융재무학과 교수
    강원도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

    안동규교수는 한림대학교에서 1990년부터 재무분야, 기업윤리 등을 가르치며 경영대학장과 대학원장 및 부총장 (2017-2021)등의 보직활동을 하였다. 지역관련 활동으로는 지역경실련, 기윤실, 한국분권아카데미를 설립하며 원장 역할을 하였으며 최근에는 지방분권전국회의의 공동대표 역할과 강원도 자치분권위원장의 활동을 하고 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재정위원장을 담당하였고 관련해서 대통령표창을 받았으며, 지역의 시민활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분권형 개헌, 강원도평화특별자치도, 등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듀크대학교,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학사 석사(MBA) 박사(Ph.D 경영학)를 취득하였고 관련학회와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기독교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교회 및 선교단체에 봉사하고 있으며 슬하에 2녀를 두고 있다.

    Close
  • 윤영근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재난안전연구실
    부연구위원

    분과세션 3

    윤영근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재난안전연구실
    부연구위원

    2011년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1~2013년까지 서울대학교 BK21 사업단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서울대, 한양대 등에서 강의하였다. 2013년~2018년까지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서 근무하였고, 2018년 2월부터 현재까지 한국행정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관심 분야는 지방자치, 국가-사회 관계, 조직구조 등이다. 

    Close
  • 이영성

    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과
    교수

    분과세션 2

    이영성

    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과
    교수

    이영성 교수는 1993년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를 취득했으며, 2001년에 미국 코넬대학교의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에서 박사(Ph.D.)를 취득했다. 2002년에는 서울연구원에서 ‘청계천복원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연구책임을 했으며, 2003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중앙대학교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2006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교수로 봉직하고 있다. 현재 ‘도시 및 지역경제학’, ‘기반시설계획’, ‘스마트도시의 계획과 관리’, ‘통일과 도시계획’이라는 과목을 담당하고 있다. 지금까지 100여편 이상의 논문을 여러 학술지에 발표했다. 그가 발표한 연구논문은 토지, 주택, 도시재정, 사회간접자본, 지역경제, 비용편익분석, 스마트시티, 삶의 질에 걸쳐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면서 진행하고 있지만, 핵심은 ‘도시와 지역의 장기적인 번영’에 놓여 있다. 즉 어떤 도시와 지역이 4차 산업혁명과 같은 거대한 도전과 변화속에서 장기적인 번영을 구가할 수 있는가에 관해 질문을 던지고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그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미래에 남북의 공동 번영을 위한 방안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거나 당연시하는 오류를 짚고, 시대흐름에 맞는 방향으로 남북관계를 바라보는 생각의 틀을 재편하고, 정책을 구체화하는데 많은 시간을 들이고 있다.   

    Close
  • 이인영

    통일부
    장관

    개막식

    이인영

    통일부
    장관

    이인영은 대한민국의 21대 국회 정치인이며, 현재 통일부 장관을 맡고있다.
    1987년 고려대학교 20대 총학생회장으로서 개헌운동을 주도하였고,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1기 의장(1987년 10월),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간사(1988년), 《전대협동우회》 초대 회장(1993년)을 거쳐 1999년 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2004년을 시작으로 제17·19·20·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2010년과 2012년 민주통합당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018년 국회 남북경제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2019년에는 제20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및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20년 7월 3일 문재인 정부의 통일부 장관으로 지명되었고, 24일 후인 7월 27일 임명이 재가되어 장관 업무를 시작하였다.

    Close
  • 이찬우

    일본 테이쿄대학교 현대비지니스학과
    준교수

    분과세션 1

    이찬우

    일본 테이쿄대학교 현대비지니스학과
    준교수

    이찬우는 1980년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 입학하여 1986년에 동대학 국사학과를 졸업, 대우경제연구소 동북아시아팀 연구위원, 제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을 역임함. 1999년 6월에 일본 니가타시에 있는 ERINA(동북아시아경제연구소)객원연구원으로 옮겨 동북아시아지역 경제협력에 관한 조사연구를 하였음. 2012년 4월부터 현재까지 도쿄의 테이쿄대학 현대비지니스학과 준교수를 하고 있으며 일본경제연구센터 특임연구원을 겸임하고 있음. 주요한 연구분야는 한반도를 중심으로한 동북아시아지역의 정치/경제 조사 및 동북아지역협력체계 모델연구임. 주요 논문 및 저서로 남북한의 동북아 정책[변화하는 동북아 경제지도](2017)과 [북한경제와 협동하자] (2019) 등이 있음.

    Close
  • 이희옥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분과세션 2

    이희옥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희옥 교수는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성균중국연구소장으로 있다. 현대중국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한국정치학회 부회장으로 있다. 정부활동으로는 남북관계 발전위원회 민간위원, 청와대 남북정상회담 자문위원, 외교부·통일부·서울시 등의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통 상임위원으로 있다. 사회활동으로는 세종연구소, 동북아역사재단, 한중우호협회 부회장으로 있다. 해외에서는 중국의 지린(吉林)대학, 화교대학 등의 객좌교수이며, 퉁지(同濟)대학, 텐진외국어대(天津外大), 수도사범대학 등의 겸직교수이다. 한국외국어대학을 졸업하고 홍콩대학과 베이징대학 등에서 수학하고 연구했으며, 일본나고야대학 특임교수, 워싱턴대 방문교수, 중국해양대학 강의교수를 거쳤다. 단독저서로는 <중국의 새로운 사회주의탐색>, <중국의 새로운 민주주의 탐색>, <중국의 국가대전략 연구> 등이 있고, 등을 비롯해 40여권의 책을 편집했다. 2017년 NEAR학술상을 수상했고, 2021년 중국으로부터 중화도서 특수공헌상을 받았다. 

    Close

  •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개막식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제8대 이사장으로, 정해구 이사장은 대한민국 정부와 정책결정자들에게 유수의 정책연구와 정책자문을 제공하는 26개 정책연구기관을 관리·지원한다.

    취임 이후 정책 결정·집행의 주체와 정책연구 집단 및 연구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정책 논의의 허브 역할을 강조하며 유수의 정책을 설계·제공하는 소임을 갖고 업무를 추진하였다. 대한민국의 2대 당면과제(양극화 해소·지역균형발전) 및 4대 미래 도전과제(저출산 고령화·4차산업혁명·기후환경·국제질서 변화)에 대한 정책체계를 구축을 목표로 관련 연구를 추진하였다.

    고려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성공회대학교에서 최근 은퇴까지 20년 넘게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러한 이력을 바탕으로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 위원장, 국가정보원 개혁발전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Close
  • 정유석

    IBK 기업은행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분과세션 2

    정유석

    IBK 기업은행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정유석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정유석 박사는 2010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을 거쳐 2012년에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에서 공직으로 근무하였다. 2014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 연구원 북한연구센터에서 연구교수로 근무 후 2017년부터는 고양시정연구원 남북교류협력 담당관으로 일하였다. 2018년 한국수출입은행 북한동북아센터 연구위원을 거쳐 현재는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북한경제팀에서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서울시 남북교협력위원, 민주평통 상임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민화협 정책위원, 통일교육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북한경제와 남북경협 분야로 북한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Close
  • 알렉산더 제빈

    러시아 극동문제연구소
    한국학 센터장

    분과세션 1

    알렉산더 제빈

    러시아 극동문제연구소
    한국학 센터장

    알렉산더 제빈 박사는 러시아 정치학자이자 한반도 전문가이다. 2004년부터 모스크바에 위치한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극동문제연구소(IFES) 한국연구센터(CKS) 원장을 맡았다. 특파원 및 외교관 신분으로 북한에서 12년간 거주했다.

    1975년 소련 외교부의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MGIMO)를 졸업한 뒤, 1978~1979년 TASS통신 평양 특파원으로 근무하였고, 1983∼1990년 TASS통신 평양사무소 소장을 지냈다. 또한 1998∼2001년 북한주재 러시아대사관에서 1등 서기관 및 참사관으로 근무했다.

    1992년 북한을 떠나 모스크바 극동문제연구소로 옮겼고, 1998년 러시아 극동문제연구소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1994년 방문학자 자격으로 고려대 아시아문제연구소에서 한반도와 북한문제를 연구했고, 1997년 동일한 자격으로 통일연구원(KINU) 연구를 진행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북한정치, 북·러 관계, 한반도 안보와 핵이다. 3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미국·유럽·중국·한국과 러시아에서 다수의 논문, 단행본, 학술지, 신문 등에 기고하기도 한다. 그는 러시아의 주요 TV 채널에서 한국 문제에 대해 자주 논평한다.

    러시아정치학회(RPSA), 세계정치학회(IPSA), 모스크바기자협회, 유럽한국학회(AKSE)에서 활동하고 있다.

    Close

  • 최은주

    세종연구소 톻일전략연구실
    연구위원

    분과세션 2

    최은주

    세종연구소 톻일전략연구실
    연구위원

    최은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 정책을 주제로 고려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지금은 북한 경제 정책 및 제도의 변화와 지속, 남북경제협력,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특히 남북 경제협력을 통한 한반도 평화 실현에 관심을 갖고 그 출발점으로북한 경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Close
  • 최복수

    강원도
    행정부지사

    개막식

    최복수

    강원도
    행정부지사

    최복수 행정부지사는 대한민국의 제33대 강원도 행정부지사이다.
    2008년 소방방재청 방재대책과장을 지낸 후 2009년에는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정책과장을 맡았다. 세종특별자치시 기획조정실장(2012-2013)과 청주시 부시장(2013~2014)을 지낸 후 국민안전처로 이동하여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2014~2015)을 맡았으며 국가안보실 선임행정관(2017)으로 일했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는 행정안전부에서 재난관리정책관, 재난협력실장, 그리고 재난관리실장을 역임했다.
    충북 단양 출신으로 구미전자공업고와 한양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했으며, 충북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Close

  • 모한 쿠마르

    인도 개발도상국연구원
    원장

    기조세션

    모한 쿠마르

    인도 개발도상국연구원
    원장

    모한 쿠마르 대사는 2018년 6월부터 개도국연구원(RIS) 원장을 맡고 있다.

    인도 외교부에서 36년간 경력을 쌓았고 주 프랑스 인도 대사를 지내는 중 그의 리더십 하에 인도-프랑스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방위, 우주, 핵 및 태양 에너지, 스마트 도시 및 투자 등의 분야에서 통합되었다. 그는 주 바레인 인도 대사를 맡기도 했다.

    쿠마르 대사는 국제무역 분야에서도 잔뼈가 굵은 베테랑이다. GATT(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및 세계무역기구(WTO)의 인도 대표 수석 협상가를 맡았으며, 지적 재산권, 서비스, 분쟁 해결 및 무역기술장벽 및 규칙 등의 분야에서 협상을 맡기도 했다. 또한 마라케시(1994), 시애틀(1999)과 도하(2001)에서 개최된 WTO 각료회의에 인도 대표단으로 참가했다. 그는 외교부 국장 및 부서장을 지내면서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미얀마, 몰디브와 같은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쿠마르 대사의 전문분야는 외교적 관행 및 외교 정책, 인도와 이웃국가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다자간 협상(무역 협상), 기후변화 및 세계화 등이다.

    델리 대학교 경영학 석사(MBA)를, 파리정치대학교(Sciences Po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7년부터 진달(Jindal) 국제관계대학교 외교실무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학 학과장으로서 국제관계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

    저서로는 『WTO 협상의 역학: 내부자의 보고』(2018)를 출간했다.

    Close
  • 스티브 킬렐레아

    호주 경제평화연구소
    설립자

    기조세션

    스티브 킬렐레아

    호주 경제평화연구소
    설립자

    스티브 킬렐레아는 첨단기술사업 발전 분야의 뛰어난 기업가이자, 지속가능한 발전 및 평화에 중점을 두는 활동을 최전선에서 이끌고 있는 자선가이기도 하다.

    지난 20년 동안 킬렐레아는 자신의 비즈니스 스킬을 여러 글로벌 자선활동에 적용하여, 국제적으로 저명한 글로벌 싱크탱크인 경제평화연구소(IEP)와 현재까지 직접적인 수혜 인원이 300만명에 달하는 사적(가족)자선단체인 채리터블 파운데이션을 설립했다.

    킬렐레아는 20여년 전 호주 최대의 민간 해외원조단체 중 하나인 채리터블 파운데이션(The Charitable Foundation, TCF)을 설립했다. TCF의 획기적인 프로그램은 긴급구호 및 빈민구호, 환경재활, 전직 소년병 재활 등 세계 최빈곤층에 변화를 가져다준다.

    평화를 이루기 위해 힘쓴 공로로 그는 노벨평화상 후보에 두 번이나 지명되었다. 그는 또한 독립적인 싱크탱크인 IEP와 세계의 평화로움을 측정하는 주요 기준인 세계평화지수(Global Peace Index)를 설립했다. IEP는 비즈니스와 평화를 분석하고 평화의 경제적 가치를 수량화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영향력 있는 비영리 및 초당파적 연구기관이며, 연구는 유엔과 세계은행과 같은 국제기구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2013년에 호주의 재단들로 이뤄진 연합체는 킬렐레아의 IEP 펀딩을 호주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기부 50선 중 하나로 선정했다. 또한 같은 해 무장폭력에 맞선 행동(Action on Armed Violence)단체는 그를 무장폭력을 줄이는데 기여한 100명의 인물들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그는 전 국가 수장들로 구성되고 민주주의 증진을 위해 설립된 독립기관인 마드리드 클럽에 소속되어 있으며, 종교간 이해 및 평화를 증진하는 세계 최대규모의 기관인 평화를 위한 종교(Religion for Peace) 명예회장이다.

    첨단기술분야의 기업가로서 킬렐레아는 인티그레이티드 리서치(Integrated Research, IR)라는 호주의 선두적인 IT기업을 설립했다. IR는 30년 간 비즈니스에 필수적인 컴퓨팅 및 IP 텔레포니 환경을 위해 프로그노시스(PROGNOSIS) 퍼포먼스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제공해왔다. CEO 겸 회장인 킬렐레아의 지시를 통해 IR는 세계적인 수준의 고객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50여개국에 흩어져있는 세계 최상위 기관들이 IR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킬렐레아는 8년 동안 호주정보산업협회 이사로 재직했으며, 국제비즈니스분석협회 호주지부 및 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소를 비롯한 여러 민간기업 및 정부 이사회에서 활동했다. 또한 2001년 전세계적으로 응용가능한 신기술 전문 투자 벤처캐피탈인 스마터 캐피탈(Smarter Capital)을 설립했다.

    Close

  • 에즐 토예

    영국 평화와 이해를 위한 국제포럼 국장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위원

    기조세션

    에즐 토예

    영국 평화와 이해를 위한 국제포럼 국장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위원

    에즐 토예는 국제이해포럼(International Forum for Understanding) 국장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5인 위원회인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부위원장이다. 그는 또한 노르웨이 노벨연구소 전 연구실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박사학위(2006년)를 취득한 후 유럽을 포함해 전세계 대학교에서 강연했다. 저서로는 『스몰파워로서의 유럽 연합』(2010년), 『중국의 부상은 평화로운가? 이론, 역사, 정치 및 미래의 관점에서 보는 강대국의 부상』(2018년)과 『평화의 원인: 우리가 이제야 아는 것들』(2019년) 등이 있다. 토예는 신디케이트 칼럼니스트이며 국제 매체에 전문가로 다수 출연했다.

    Close

  • 뤼디거 프랑크

    오스트리아 빈대학교
    동아시아 경제사회학과 학과장 및 교수

    기조세션

    뤼디거 프랑크

    오스트리아 빈대학교
    동아시아 경제사회학과 학과장 및 교수

    뤼디거 프랑크 교수는 빈대학교 동아시아 경제사회학과 교수이자 동대학교의 동아시아학과 학과장이다. 사회주의 국가였던 동독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소련에서 5년 동안 지냈다. 그는 21세에 독일 통일을 경험했고, 1991년과 1992년 북한 김일성 대학에서 언어 전공자로 한 학기를 보냈다. 한국학, 경제학 및 국제 관계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러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1950년대 북한 경제사, 1990년대 기근 이후 북한의 이념과 경제개혁간의 관계, 관광과 무역, 그리고 통일의 정치경제학 등 북한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폭넓게 저술했다. 2011년과 2021년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다양한 한국 관련 협의회에서 활동했으며, 2012년에는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이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독일 경제학자 5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됐다.

    Close

  • 홍현익

    국립외교원
    원장

    분과세션 1

    홍현익

    국립외교원
    원장

    홍현익 (洪鉉翼, HONG, Hyunik) 박사는 국립외교원장으로 재임 중이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Paris I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합동참모본부 정책자문위원, 중소기업중앙회 남북경협위원회 위원, KB금융 남북경협위원회 자문위원을 맡고 있으며,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청와대NSC자문위원, 통일부 남북관계발전위원, 국가정보원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및 상임위원, 동북아시대위원회 외교안보전문위원,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그리고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및 안보연구실장을 역임한 바 있다. 저서로는 『북한의 핵 도발·협상 요인 연구』(세종연구소, 2018), 『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이 있고, 대박통일을 위한 대북정책 및 국제 협력방안: 독일과 예멘 사례의 교훈, 탈냉전기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대외안보전략 연구: 통일한국에 대한 함의, 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베트남·리비아·미얀마 사례의 북·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 등 다수의 논문과 다수의 언론 기고문을 발표했다. 

    Clos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