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단의 현장에서 평화를 만들다
일시 | 2019년 8월 28일(수), 08:00 – 16:00 | 장소 | 오두산 통일정망대, 임진각, 판문점, DMZ 지역 |
---|---|---|---|
슬로건 | “We are PEACE MAKERS!” |
시간 | 프로그램 |
---|---|
08:00 - 09:00 (60’) | 파주 이동 |
09:00 - 10:00 (60’) | 오두산 통일전망대 |
10:00 - 11:40 (100’) | 임진각 및 독개다리 |
11:40 - 13:30 (110’) | 환영행사 및 오찬 |
13:30 - 16:00 (90’) | 판문점 및 비무장지대 |
16:00 - 17:30 (90’) | 서울 이동 |
환영만찬 (초청자에 한해) ㅣ 롯데호텔서울, 2층 크리스탈볼룸 | |
---|---|
18:30 – 20:30 (120’) |
환영사
|
만찬사
축사
|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09:30 – 10:45 | 장소 | 롯데호텔서울, 2층 크리스탈볼룸 |
---|
시간 | 프로그램 | |
---|---|---|
09:30 - 10:45 (75’) | 개막식 | |
개회사 |
|
|
축사 |
|
|
개회세션 | ||
사회 |
|
|
연사 |
|
|
10:45 - 10:55 (10') | 커피브레이크 |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0:55 – 12:30 | 장소 | 롯데호텔서울, 2층 크리스탈볼룸 |
---|---|---|---|
주제 |
‘평화가 경제다’라는 대주제 아래 ‘신한반도 체제와 평화경제’, ‘동북아와 유라시아 평화ㆍ번영 및 국제협력’을 주제로 기조연설과 패널 토론이 진행될 것입니다. ‘신한반도 체제와 평화경제’와 관련하여 한반도신경제구상과 각국의 동북아 개발 구상(중국의 일대일로, 러시아의 신동방정책)과의 연계 방안이 논의되고, 이어서 평화경제, 즉 한반도 평화정착이 경제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고, 한반도 평화정착이 각국에 갖는 의미와 남북경제협력의 추진 방향, 각국의 한반도 개발 참여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것입니다. ‘동북아와 유라시아 평화․번영 및 국제협력’과 관련해서는 동북아 평화 정착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즉 동북아 평화협력 플랫폼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이어서 ‘남․북․중․일․러․몽 + 미국’이 함께하는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상에 대한 논의가 이어집니다. 동아시아 철도공동체는 1951년 유럽 6개국이 결성한 유럽석탄철강공동체(ESCE)가 유럽연합(EU)의 모태가 된 것에 착안하여 동북아시아에 철도를 기반으로 한 평화경제 공동체를 구축을 위해 제안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동북아를 넘어 유라시아 평화․번영을 위한 유라시아 다자협력 방안이 논의될 것입니다.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각국은 물론 국제기구의 역할과 협력방안을 논의하고자 합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0:55 - 12:30 (95’) | 기조연설 |
|
패널 토론 | ||
사회 |
|
|
연사 |
|
|
12:30 - 14:00 (90’) | 오찬 | |
오찬사 |
|
정치·외교·안보 분과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4:30 - 16:25 | 장소 | 프레지던트호텔, 31층 슈벨트홀 |
---|---|---|---|
주관 | 통일연구원 | ||
주제 | DMZ의 평화지대화: 성과와 과제 “DMZ의 평화지대화: 성과와 과제”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본 분과세션에서는 그동안 남북 분단과 대립의 상징이었던 DMZ를 평화와 공존의 공간으로 재구성해낼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며, 특히 산티아고 순례길 사례를 통해 ‘DMZ 평화의 길’을 통한 한반도 화해와 평화의 확산 가능성을 짚어보도록 할 것입니다. |
* 분과세션 1. 트랙 1 세션에 참석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8월 27일(화)까지 사전등록 신청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사전등록은 선착순 마감될 수 있으며, 8월 29일(목) 14:30 전까지 현장등록은 가능하오나, 세션 시작 후 현장등록 참석은 불가능하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등록장소: 프레지던트호텔, 31층 모차르트홀)
시간 | 프로그램 | ||
---|---|---|---|
14:30 - 15:10 (40‘) | 좌장 |
|
|
발표 |
“DMZ 평화지대화의 비전과 과제”
“CAMINO DE SANTIAGO: Where Several Cultures Unite”
|
||
15:10 - 16:25 (65‘) | 토론 |
|
|
16:25 – 16:35 (10’) | 커피브레이크 |
* 일반 참가자 현장 등록 가능 세션
(등록 일시: 8월 29일(목), 16:00 – 16:35(시간 엄수), 장소: 프레지던트호텔, 31층 모차르트홀)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6:35 - 18:30 | 장소 | 프레지던트호텔, 31층 슈벨트홀 |
---|---|---|---|
주관 | 한국행정연구원 | ||
주제 | 혁신적 포용국가의 미래 '다 함께 잘사는 혁신적 포용국가'를 대한민국 정부의 새로운 국정 비전으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는 2019년을 '혁신적 포용국가 원년'으로 선언하고 ‘포용국가 사회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혁신적 포용국가’는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을 추구하며, 성장에 의한 혜택이 소수에게 독점되지 않고 모두에게 골고루 돌아가는 공존과 상생의 미래를 향해 혁신하는 사회를 의미합니다. 혁신적 포용국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회 내부적으로 중·하층 소득자들의 소득증가, 복지, 공정경제 등을 추구함과 동시에, 대북 포용정책, 한반도 평화 번영의 포용, 포용적 세계화 등 우리 사회 내부를 뛰어넘는 포용의 가치 추구가 필요합니다. 본 ‘혁신적 포용국가의 미래’ 분권 세션에서는 스위스, 미국 및 한국의 포용을 핵심가치로 한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혁신적 포용국가에 도달하기 위한 과제, 전략 등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6:35 - 17:50 (75‘) | 좌장 |
|
|
발표 |
“Ideal Civil Servants: Are there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s?”
“The Federal system of SwitzerlandA Promoter of Innovation and Inclusiveness”
“포용국가의 국가론적 지위와 이행전략”
|
||
17:50 – 18:25 (35’) | 토론 |
|
|
18:25 – 18:30 (5’) | 기념촬영 |
환경·농업 분과
* 일반 참가자 현장 등록 가능 세션
(등록 일시: 8월 29일(목), 14:00 – 14:30(시간 엄수), 장소: 프레지던트호텔, 31층 모차르트홀)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4:30 - 16:20 | 장소 | 프레지던트호텔, 19층 브람스홀 |
---|---|---|---|
주관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주제 | 지속가능한 DMZ 관리와 남북 환경협력 방안 본 세션의 목적은 DMZ 환경보전 가치에 대한 공유와 이의 남북한 평화공존에서의 위상을 정립하고, DMZ 일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및 남북환경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DMZ 평화경제의 환경분야와 관련하여 ‘DMZ 환경상태 및 지속가능한 개발’, ‘DMZ 환경보존과 국제협력’, ‘DMZ 평화경제 실현과 남북 생태환경 협력’에 대한 주제가 발표됩니다. 독일 관련 재단의 대표 등 국내외 전문가를 모시고 통일 독일의 경험을 공유하고 남북한 생태환경 협력이 한반도 평화경제에서의 차지하는 위상과 의의, DMZ 등 한반도 생태환경 자원을 활용한 남북한 평화경제의 구체적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4:30 - 14:40 (10‘) | 개회사 |
|
|
14:40 - 15:20 (40‘) | 발표 |
“DMZ 환경상태 및 지속가능한 개발”
“DMZ 환경보존과 국제협력”
|
|
15:20 - 15:25 (05’) | 기념촬영 | ||
15:25 - 16:20 (55‘) | 라운드테이블 | ||
좌장 |
|
||
토론 |
|
||
16:20 - 16:40 (20‘) | 커피브레이크 |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6:40 - 18:30 | 장소 | 프레지던트호텔, 19층 브람스홀 |
---|---|---|---|
주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주제 | 남북한 접경지 농업협력 방안 농업 세션에서는 ‘남북한 접경지 농업협력 방안’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됩니다. ‘접경지 특구 배후지역에서의 남북 농업협력 구상’, ‘경기도 남북 농업협력 방안’ 등의 주제에 대해 발표가 진행되며, 이어지는 종합토론을 통해 농업분야 접경지 남북 교류협력을 통한 한반도 평화정착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실효성있는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논의의 장이 될 것입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6:40 - 17:40 (60‘) | 좌장 |
|
|
발표 |
"북한의 산림 훼손과 토양 유실에 대한 해결방안"
“접경지 특구 배후지역에서의 남북 농업협력 구상”
“경기도 남북 농업협력 방안”
|
||
17:40 - 18:30 (50‘) | 토론 |
|
산업·과학기술 분과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4:30 - 17:00 | 장소 | 롯데호텔서울, 36층 벨뷰스위트 |
---|---|---|---|
주관 | 산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
주제 |
한반도 신경제 구축을 위한 혁신 생태계 발전방안 산업·과학기술 분과세션은 ‘한반도 신경제 구축을 위한 혁신 생태계 발전방안’ 이라는 주제 아래 남북한 과학기술·ICT 및 산업협력 추진 방안과 남북 교류협력이 갖는 기회와 과제를 논의하기 위한 주제발표와 패널토의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남북한 산업연계 강화를 위한 과학기술·ICT 분야에서의 협력방안을 모색하며, 특히 “한반도신경제구상”의 실현을 위한 남북한 산업협력 전략 및 단계별, 지역별 협력 추진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제안될 협력 추진방안을 바탕으로 남북 관계 현황과 교류 협력이 가져올 여러 기회와 과제에 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4:30 - 14:35 (5‘) | 개회사 |
|
|
14:35 - 14:40 (5’) | 기념촬영 | ||
14:40 - 15:40 (60‘) | 좌장 |
|
|
발표 |
“한반도 신경제 구축을 위한 남북한 과학기술·ICT 협력방안”
“한반도 신경제 구상 실현을 위한 남북한 산업협력 추진전략”
|
||
15:40 - 16:00 (20’) | 커피브레이크 | ||
16:00 - 16:30 (30‘) | 발표 |
“한반도 신경제 구축을 위한 혁신생태계 발전 방안: 남북 현황, 협력의 기회와 과제”
|
|
16:30 - 17:00 (30‘) | 토론 |
|
교육 분과
* 일반 참가자 현장 등록 가능 세션
(등록 일시: 8월 29일(목), 15:30 – 16:00(시간 엄수))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6:00 - 18:30 | 장소 | 롯데호텔서울, 37층 가넷스위트 |
---|---|---|---|
주관 | 한국교육개발원 | ||
주제 | 교육으로 여는 평화, DMZ와 평화·통일 교육 한반도 분단 상황을 국제 사회에 알릴뿐만 아니라 국내외 저명한 학자 및 활동가의 토론을 통해 새로운 평화·통일 교육 나아갈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될 것입니다. 영국 평화 교육가, 일본 ICU 평화학 교수, 국경선 평화학교 교장을 비롯한 국내외 활동가(activist), DMZ 지역에 대한 국내외 연구자 및 학자, 평화·통일 교육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초청하여 비무장지대가 한반도 평화 패러다임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토론하며, 우리 사회 안에 내재되어 있는 많은 평화적, 비평화적 관계에 대해 토의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통일의 과정에 초점을 둔 평화·통일 교육에 대한 논의와 함께 이를 학교 및 학교 밖 교육 현장에서의 평화·통일 교육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토론할 것입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6:00 - 16:10 (10‘) | 인사말 |
|
|
16:10 - 17:35 (85‘) | 좌장 |
|
|
발표 |
“관계적 학교 프레임워크, 관계를 통한 평화 촉진”
“평화를 가르칠 수 있는가?: 평화교육을 위한 생태학적 사고”
“한반도 분단극복 평화교육”
“국경선평화학교의 이야기: 한반도 평화건설을 위한 평화교육 운동”
|
||
17:35 - 17:50 (15’) | 커피브레이크 | ||
17:50 - 18:30 (40‘) | 토론 |
“평화지향 통일교육의 방향”
“한국의 평화 교육을 위한 십일조 관행”
|
|
질의응답 |
국제협력·여성 분과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4:30 - 16:20 | 장소 | 프레지던트호텔, 19층 아이비홀 |
---|---|---|---|
주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
주제 | 한반도 평화경제와 여성 발표 세션에서는 ‘한반도 평화경제와 여성’이라는 대주제 아래 ‘국가 개혁 과정에서의 베트남여성연맹의 참여와 함의’, ‘한반도 평화경제와 성평등의 실현’을 주제로 발표 및 패널토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먼저 '국가 개혁 과정에서의 베트남여성연맹의 참여와 함의' 발표에서는 베트남 국가 개혁과정에서의 베트남 여성연맹의 참여경험 및 그 함의가 논의될 예정입니다. 이어서 ‘한반도 평화경제와 성평등의 실현’ 발표에서는 평화 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구성, 남북한 여성연대 도모 방안 등이 모색될 예정이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들이 한반도 평화경제에 갖는 의미와 향후 추진방향에 대한 토론이 진행될 것입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4:30 – 14:35 (5’) | 개회사 |
|
|
14:35 - 15:30 (55‘) | 좌장 |
|
|
발표 |
“국가 개혁 과정에서의 베트남여성연맹의 참여와 함의”
“한반도 평화경제와 성평등의 실현”
|
||
15:30 - 16:00 (30’) | 토론 |
|
|
16:00 - 16:20 (20’) | 질의응답 | ||
16:20 - 16:40 (20’) | 커피브레이크 |
* 일반 참가자 현장 등록 가능 세션
(등록 일시: 8월 29일(목), 16:10 – 16:40(시간 엄수), 장소: 프레지던트호텔, 31층 모차르트홀)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6:40 - 18:30 | 장소 | 프레지던트호텔, 19층 아이비홀 |
---|---|---|---|
주관 | 한국개발연구원, KDI국제정책대학원 | ||
주제 |
북한개발협력과 한반도 평화
최근 한반도 정세가 평화와 협력의 시대로 진전되면서 남북경제협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본 세션에서는 ‘북한 개발협력과 한반도 평화’라는 주제로 발제와 토의가 진행될 것입니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지난 20년간 우리 정부의 CSO 사업이 한반도 평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다각적으로 분석해 보고, 한반도 평화정책의 딜레마와 직면한 과제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이어서 과거 개발도상국과 최빈국에 전수했던 ODA사업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가 북한개발협력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향후 북한과의 개발협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볼 예정입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6:40 - 17:40 (60‘) | 기조연설 |
|
|
좌장 |
|
||
발표 |
“The Legacy of 20 Years' of Engagament with North Korea”
“취약국가 개발협력과 대 북한 시사점”
|
||
17:40 - 18:30 (50’) | 토론 |
|
|
질의응답 |
법제·형사 분과
* 일반 참가자 현장 등록 가능 세션
(등록 일시: 8월 29일(목), 14:00 – 14:30(시간 엄수))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4:30 - 18:30 | 장소 | 웨스틴조선호텔, 2층 오키드룸 |
---|---|---|---|
주관 | 한국법제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
주제 | 평화 공존을 위한 동질성 회복 및 DMZ 토지질서 안정화 법제·형사 분과세션에서는 남북 평화 공존의 중요한 과제인 상호 동질성 회복과 DMZ내 토지질서 안정화를 주제로 기조연설 및 패널 토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남북 상호 동질성의 회복을 위하여서는 북한 취약 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의 전면적 확대, 문화·사회·체육 분야의 인적 교류 확대, 금강산 관광 및 개성공단의 재개, 자라나는 세대에 대한 교류 협력에 대한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한편 38선 이북의 DMZ 토지는 1946년 북측의 토지개혁으로 국유화되었으며 전쟁으로 말미암아 구(舊) 토지체계가 모두 붕괴되었기 때문에 시원적 질서를 재편하여야 함. 38선 이남의 DMZ(파주) 토지는 전쟁 전 국공유지와 사유지들이 공존하였으나 역시 무력으로 말미암아 종전 소유권이 형해화됨. 참전국 군사령관들이 평화협정 등에서 토지 관할권을 주장할 가능성이 있어, DMZ 토지를 “영구 중립지대로서 공유화하자”는 대안을 추진함이 바람직합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4:30 - 15:40 (70‘) | 기조발제 |
“평화 조성을 위한 사법방정식”
“입법에 의하여 옛 동서독 국경(그린벨트)을 국가자연기념물로 만들기”
|
|
15:40 - 16:00 (20’) | 기념촬영 및 커피브레이크 | ||
16:00 - 18:20 (140‘) | 좌장 |
|
|
발표 |
“통일경제특구법 제정을 통한 평화경제 실현방안”
“남북교류협력시대에 있어서 협력강화방안”
“중립적 공유지에 기반한 DMZ 토지질서의 안정화”
|
||
토론 |
|
||
18:20 - 18:30 (10‘) | 폐회 |
동아시아연구기관장 분과
* 일반 참가자 현장 등록 가능 세션
(등록 일시: 8월 29일(목), 14:00 – 14:30(시간 엄수))
일시 | 2019년 8월 29일(목), 14:30 - 18:05 | 장소 | 롯데호텔서울, 3층 아테네가든 |
---|---|---|---|
주관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
주제 |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변화와 동아시아 경제
동아시아 연구기관장회의(EAI)는 동아시아(ASEAN+3 국가) 주요 싱크탱크 기관장들의 토론을 통해 동아시아 국가간 경제통합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고 연구를 촉진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본 포럼은 2005년부터 KIEP이 주최하는 연례 행사입니다. 본 포럼은 참가자들이 동아시아 지역의 최근 상황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는 동시에 정책과제를 분석하고 구성하기 위해 토의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또한 아세안, 중국, 일본의 주요 동아시아 학자들 및 전문가들과 국제기구 및 대학교 강연자들을 초청하여, 동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중요하고 시기 적절한 이슈들에 대해 통찰력 있는 논의할 것입니다. |
시간 | 프로그램 | ||
---|---|---|---|
14:30 - 14:40 (10‘) | 개회사축사 |
|
|
14:40 - 16:10 (90‘) | 세션 1: “중국의 부상이 동아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 ||
좌장 |
|
||
발표 |
“미정”
“The Rise of China and Its Impact on East Asian Economy”
|
||
종합토론 |
|
||
16:10 - 16:30 (20‘) | 커피브레이크 | ||
16:30 - 18:00 (90‘) | 세션 2: “미중분쟁이 동아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 ||
좌장 |
|
||
발표 |
“US-China Trade War: Impacts on Vietnam”
“The China-US Trade War and its impacts on China and East Asia Economy”
|
||
토론 |
|
||
종합토론 | |||
18:00 - 18:05 (05‘) | 폐회 |